콩알이의 다양한 정보 스크랩

건강한 체중 관리를 위한 올바른 탄수화물 섭취 방법 본문

이것저것 정보/건강정보

건강한 체중 관리를 위한 올바른 탄수화물 섭취 방법

절치부심_권토중래 2025. 4. 16. 17:34
반응형

건강한 체중 관리를 위한 올바른 탄수화물 섭취방법

봄을 맞아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체중 관리중 탄수화물을 먹어도 될런지 걱정하시는 분들 계시죠? 결론만 말씀드리면 탄수화물을 안 먹으면 생존을 위협받게 되겠죠. 건강한 체중 관리를 위한 올바른 탄수화물 섭취 방법 알려드릴게요. 바로 밀가루와 같은 정제 탄수화물을 잘 처리하는 몸을 만드는 겁니다.

 

 

 

✅ 1. 탄수화물 섭취

🔍 정의 탄수화물은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곡류, 과일, 채소, 감자, 설탕 등에 포함되어 있음
💡 역할 뇌와 근육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함
🍚 주요 식품 쌀밥, 고구마, 감자, 빵, 국수, 떡, 과일 등
⚠️ 과다 섭취 시 체중 증가, 혈당 상승, 인슐린 저항성 증가 등 위험
✅ 적정 섭취 총 에너지 섭취량의 50~65% 정도가 권장 (개인별 차이 있음)
🍽️ 팁 정제된 탄수화물(흰쌀, 설탕 등)보다는 복합 탄수화물(현미, 귀리, 채소 등)을 우선 선택

 

 

 

◎ 단맛 중독이 뇌에 미치는 영향은?

단 음식을 섭취하면 우리 뇌에 쾌감 중추를 자극합니다.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있는데요. 단 음식을 먹으면 도파민 분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도파민은 비슷한 자극이 반복될수록 분비량이 줄어듭니다. 그래서 점점 더 자극적인 맛을 선호하게 되는 것인데요. 성인 10명 중 3명이 설탕에 중독되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을 정도입니다. 

 

 

◎ 혈관건강을 위협하는 단맛의 위험성

- 혈당이 급격히 오르면 많은 양의 인슐린이 분비가 됩니다. 체내 대사 활동에 사용하고 남은 당은 지방으로 바뀌게 됩니다. 결국 내장지방이 쌓이고 지방간이 생기며 과도한 당 섭취로 인해 혈액이 점점 끈적거리고 혈관이 좁아지게 됩니다. 결국 인슐린을 고갈시켜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탄수화물을 잘게 쪼갠 것을 단당류라고 부릅니다. 작은 단당류는 빠르게 흡수되고 빠른 탄수화물 흡수는 지방으로 변화되면서 혈당이 급상승 하게 됩니다. 그래서 정제 탄수화물을 보완할 수 있는 복합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은데요. 비정제 곡식, 콩류, 감자 등을 섭취하시는게 좋습니다. 복합 탄수화물은 흡수가 더디고 체외로 배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2. BNR17 유산균

🔍 정의 BNR17은 모유 유래 유산균(Lactobacillus gasseri BNR17)으로, 특허 받은 기능성 유산균
🌿 주요 기능 장 건강 개선, 체지방 감소, 변비 개선, 면역력 강화
🔬 과학적 근거 국내외 논문 다수 존재, 식약처로부터 체지방 감소 기능성 인정
💊 복용 방법 일반적으로 하루 1~2회, 식전 또는 식후 복용 가능 (제품별 상이)
🧬 작용 방식 장내 유익균 증식, 지방 흡수 억제, 대사 개선 등
👩‍⚕️ 주의사항 개인 체질이나 복용 중 약물에 따라 전문가 상담 필요

 

 

그리고 BNR17 유산균을 섭취하시면 혈당관리에 도움이 되는데요. BNR17 유산균은 단당류가 몸에 들어왔을때 다당류로 변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분자 크기가 큰 다당류는 흡수가 더디고 배출이 용이할 수 밖에 없습니다. 탄수화물을 과하게 섭취했더라도 체외 배출에 도움을 주는 것이 BNR17유산균이라는 사실.

 

 

반응형
Comments